지지선 , 저항선에 비해서 추세선은 판단이 조금 더 까다롭습니다. 지지선과 저항선은 수평으로 긋는 선으로 더 포착하기 쉽고 , 추세선에 비해 자의적인 판단이 개입하기 더 여렵기 떄문입니다.
또한 지지선과 저항선은 수평선을 기준으로 해당 지점을 통과하는지 아닌지를 금방 판단할 수 있습니다. 지지와 저항은 특정지점에서 판단할 수 있는 " 점 " 의 개념인 반면에 추세는 일정 기간에 거쳐 형성되고 무너지는 것으로 " 선 " 의 개념에 가깝습니다. 따라서 차트의 우측 끝에서 현재 주가의 움직임이 추세의 붕괴를 나타내는지 , 혹은 추세의 연장인지 파악하는 것이 극도로 어렵습니다.
책을 읽다보면 알다가도 모를 부분이 나옵니다 . 엘더는 " 추세선은 유리잔이 아니다 , 한번 금이 가면 못쓰게 되는 물건이 아니라는 말이다" 라고 말하며 , 종가가 추세선 반대편에서 기록되고 , 추세선은 일정거리 이상 이탈해야 추세 붕괴라고 말합니다. 추세라는 것이 그만큼 명쾌하게 파악하기 어렵다는 방증인 것 같습니다.
글 중 , 추세를 파악하는데 유용하게 쓸 수 있는 몇가지 포인트를 요약해 봤습니다.
º 상승시 전고점을 갱신하고 ,하락 시 저점이 이전 저점보다 계속 높다면 상승추세이다.
º 하락시 전저점을 갱신하고 , 상승 시 고점이 이전 고점보다 낮다면 하락추세이다.
º 의미있는 저점들을 연결해 상승추세를 파악하고 , 의미있는 고점을 이어 하락추세를 파악한다.
º 상승추세에서는 주가가 상승할 떄 거래량이 증가하고 , 주가가 하락할 때는 트레이더들이 움직이지 않는다.
º 하락추세에서는 주가가 하락할 때 거래량이 감소하고 , 주가가 상승할 때는 트레이더들이 움직이지 않는다.
º[1] 거래량이 늘며 추세선과 동행하거나 [2] 거래량이 줄어들며 추세선과 가까워지면 추세의 유지이다.
º[1] 거래량이 줄며 추세선과 동행하거나 [2] 거래량이 늘어나며 추세선과 가까워지면 추세의 반전이다.
언제나 그렇듯이 , 주식투자에서 100% 맞는 공식은 없습니다. 유연하게 적용해야겠지만 개인적으로 위의 기준들은 차트의 우측 끝에서 충분히 사용할 수 있는 기준이라고 생각됩니다. 물론 추세매매라는 큰 전제를 따른다는 하에 사용할 수 있는 기법들입니다.